베를린 팡코역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베를린 팡코역은 독일 베를린에 위치한 철도역으로, 1880년 개업하여 S반 및 U반 노선이 운행된다. 초기에는 팡코쇤하우젠역으로 불렸으며, 1924년부터 S반 전철 운행이 시작되었다. 제2차 세계 대전 중 피해를 입었으나, 이후 복구되어 1954년 현재의 이름으로 변경되었다. U반 연장 계획은 대공황으로 중단되었으나, 독일 통일 후 재추진되어 2000년 U반 팡코역이 개통되었다. 역 북동쪽에는 1893년부터 1997년까지 대규모 조차장이 운영되었으며, 현재는 폐쇄되어 부지만 남아있다. 현재 S2, S8, S26 S반 노선과 U2 지하철 노선이 운행되며, 버스 및 트램으로 환승 가능하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880년 개업한 철도역 - 삿포로역
삿포로역은 홋카이도 삿포로시에 위치한 JR 홋카이도 철도역이자 삿포로 시영 지하철 환승역으로, 홋카이도 주요 교통 중심지 역할과 대규모 상업시설 연결, 홋카이도 신칸센 종착역 건설 예정 등으로 교통 중심 기능을 강화할 예정이다. - 1880년 개업한 철도역 - 고토니역 (홋카이도 여객철도)
고토니역은 홋카이도 삿포로시 니시구에 위치한 JR 홋카이도의 지상역으로, 하코다테 본선 상에 2면 3선의 섬식 승강장을 갖추고 쾌속 열차도 정차하며, 주변에는 상업 및 공공 시설과 버스 노선이 위치한다. - 팡코구의 건축물 - 베를린 그라이프스발더 슈트라세역
베를린 그라이프스발더 슈트라세역은 독일 베를린에 있는 S반역으로, 1875년 바이센제역으로 개업하여 역명 변경을 거쳐 현재의 이름을 갖게 되었으며, S반 노선 S41, S42, S8, S85가 운행하고 베를린 노면전차 M4번 및 버스 158번과 환승 가능하다. - 팡코구의 건축물 - 베를린 보른홀머 슈트라세역
베를린 보른홀머 슈트라세역은 1935년 개통된 S반 역으로, 베를린 분단 시기에는 동서베를린 경계에 위치하여 베를린 장벽 붕괴 당시 통일의 상징적인 장소가 되었고, 재통일 후 재건축을 거쳐 재개방되었다. - 베를린 지하철 2호선 - 베를린 알렉산더플라츠역
베를린 알렉산더플라츠역은 1882년 개통된 베를린 도심의 주요 교통 허브로, 다양한 노선의 환승역이자 알렉산더 광장과 주요 명소 접근성이 뛰어나며, 역사적으로 전쟁 피해와 분단 등의 변화를 겪고 통일 후 현대화되었다. - 베를린 지하철 2호선 - 베를린 포츠다머 플라츠역
베를린 포츠다머 플라츠역은 S반, 지역간 열차, U반이 지나는 역으로, 베를린 장벽 시기에 폐쇄되었다가 재개장했으며, 건축 유산으로 지정되어 다양한 교통 수단으로 환승할 수 있다.
베를린 팡코역 - [지명]에 관한 문서 | |
---|---|
위치 | |
소재지 | 베를린 팡코구 |
주소 | 베를린, 팡코구, 베를린 |
지도 유형 | 베를린 |
지도 설명 | 베를린 내 위치 |
기본 정보 | |
이름 | 베를린 팡코 |
원래 이름 | Bahnhof Berlin-Pankow |
원래 이름 (언어) | de (독일어) |
다른 이름 | 팡코 ([[파일:U-Bahn.svg|10px|]]에만 해당) |
유형 | Bf |
구조 | 고가 (슈타트반) 지하 (U반) |
개업일 | 1880년 10월 15일 [[파일:U-Bahn.svg|10px|]]: 2000년 9월 16일 |
폐지일 | 조차장: 1997년 7월 2일 |
전철화 | 1924년 8월 8일 |
이전 이름 | 1880-1883 팡코 1883-1954 팡코-쇤하우젠 |
건설 연도 | 1909-1914 |
건축가 | Karl Cornelius and Ernst Schwartz (카를 코르넬리우스, 에른스트 슈바르츠) |
도이체 반 역 코드 | 0555 |
DS100 | BPKW |
역 등급 | 5 |
VBB 구역 | [[파일:Rail-interchange|berlin|VBB]]: 베를린 B/5656 |
![]() | |
노선 정보 | |
노선 | 슈체친 철도 U2 |
승강장 | 1면 2선 (슈타트반) 1면 2선 (U2) |
선로 | 2 (슈타트반) 2 (U2) |
연결 | [[파일:Rail-interchange|berlin|M1]] [[파일:Rail-interchange|berlin|50]] [[파일:Rail-interchange|berlin|BUS]] |
S반 | |
노선 | |
인접 역 | S2: 팡코하이너스도르프 - 보른홀머 슈트라세 S8: 팡코하이너스도르프 - 보른홀머 슈트라세 S26: 팡코하이너스도르프 - 보른홀머 슈트라세 |
U반 | |
인접 역 | 피네타슈트라세 - 종착역 |
2. 역사
팡코역은 1880년 베를린-슈체친 간선 철도의 정거장으로 처음 개업했다. 개업 당시 이름은 팡코쇤하우젠(Pankow-Schönhausen)역이었다. 팡코는 베를린 시민들의 하계 휴양지로 알려진 곳이었으나, 초기 역은 팡코 중심지에서 약 1km 떨어진 외곽에 위치해 있었다. 그러나 철도 건설은 팡코 지역의 시가지 확장을 이끌었다.
이후 팡코 조차장이 건설되면서 여객 열차용 역도 확대되었고, 1916년까지 슈체친선의 베를린-베르나우 구간에서 근교선, 장거리 열차, 화물선이 분리되었다. 1909년부터 1914년까지는 카를 코넬리우스(Karl Cornelius)와 에른스트 슈바르츠(Ernst Schwartz)가 설계한 북부 역사와 대합실이 건설되었다.
1920년대에는 독일국영철도의 전철화 계획에 따라 베를린 S반 시스템에 편입되었다. 초기에는 교류 15 kV 16 2/3 Hz 방식을 사용할 예정이었으나, 최종적으로는 제3궤조 방식이 채택되어 1924년 8월 8일부터 전철 정규 영업 운행이 시작되었다.
제2차 세계 대전 당시 역 일대는 크게 파괴되지 않았으며, 전쟁 이후 1954년 10월 3일 현재의 베를린 팡코역으로 이름이 변경되었다.
U반 노선(현재의 U2)은 1930년대부터 팡코역까지 연장하는 계획이 있었으나 오랫동안 실현되지 못하다가, 독일 통일 이후 1997년에 착공하여 2000년 9월 16일에 개통되었다.
thumb
2. 1. 초기 역사 (1880년 ~ 1920년대)
1880년 10월 15일, 베를린-슈체친 간선 철도의 팡코-쇤하우젠(Pankow-Schönhausen)역으로 개업하였다. 당시 팡코는 베를린 시민들의 하계 휴양지로 알려져 있었다. 초기 역은 팡코 중심지에서 약 1km 떨어진 외곽에 위치했으나, 철도 건설로 인해 시가지가 확장되었다. 1911년 베를린 북부선에 새로운 팡코역(현재의 베를린 볼랑크슈트라세역)이 건설되면서, 기존 역은 팡코-쇤하우젠역으로 이름이 변경되었다.팡코 조차장이 건설되면서 여객 열차용 역도 확대되었고, 1916년까지 슈체친선의 베를린-베르나우 구간에서 근교선, 장거리 열차, 화물선이 분리되었다. 1909년부터 1914년까지 카를 코넬리우스(Karl Cornelius)와 에른스트 슈바르츠(Ernst Schwartz)가 설계한 북부 역사와 대합실이 건설되었다.
2. 2. S반 시대 (1920년대 ~ 현재)
독일국영철도는 1913년 전철화 계획에 따라 1922년까지 열차선을 전철화할 예정이었다. 초기에는 교류 15 kV 16 2/3 Hz 방식을 사용하려고 했으며, 팡코하이네르스도르프역 구간에는 1921년 초에 전차선 지지대 12개가 100여 m 간격으로 세워졌다. 그러나 최종적으로는 베를린 S반에서 사용되는 제3궤조 방식이 채택되었다. 전력 공급을 위해 변전소가 설치되었고, 1924년 8월 8일부터 전철 정규 영업 운행이 시작되었다. 이는 베를린 S반의 첫 번째 노선이었다.제2차 세계 대전 중에도 역 일대는 크게 파괴되지 않았다. 베를리너 슈트라세 연선에 있던 과거 역 건물만 일부 파괴되었다. 1954년 10월 3일, 역 이름이 베를린 팡코역으로 변경되었다.
2003년부터 역 일대와 S반 역사 개보수가 진행되었다. 베를리너 슈트라세 위를 지나는 철교가 철거 및 신축되었고, 2003년과 2004년에는 S반선 노반이, 2005년에는 열차선 노반이 개수되었다. 2008년에는 과거 조차장으로 연결되었던 선로가 철거되었다.
이 역을 통과하는 S반 노선은 다음과 같다.
노선 | 경로 |
---|---|
S2 | 베르나우 - 카로 - 팡코 - 게준트브루넨 - 프리드리히슈트라세 - 쥐드크로이츠 - 블랑켄펠데 |
S8 | 비르켄베르더 - 블랑켄부르크 - 팡코 - 오스트크로이츠 - 쇤바이데 - 그뤼나우 |
S26 | 블랑켄부르크 - 게준트브루넨 - 프리드리히슈트라세 - 쥐드크로이츠 - 텔토 시 |
2. 3. U반 시대 (1930년대 ~ 현재)
베를린 지하철 A선을 팡코(피네타슈트라세)역까지 연장한 후 대공황이 발생하여 모든 계획이 중단되었다. 대공황의 여파가 잦아든 후에도 예산 확보, 역 위치, 노선 연장 문제에 대한 합의가 이루어지지 않아 1930년대 이후 계획은 실현되지 못했다.1980년대 중반, 동독 정부는 화물역과 그라니츠슈트라세/프렌츨라우어 프로메나데로 둘러싸인 부지에 새로운 기지 건설을 계획했다. E선을 회노역으로 연장하면서 프리드리히스펠데 기지의 용량 초과가 예상되었기 때문이다. 기지에는 총 144량(8량 편성 18편성)을 유치할 수 있었고, 신호소, 세척선, 중검수 시설(150 m×48 m), 정비 시설(78 m×18 m)이 건설될 예정이었다. 동독 국가평의회는 1986년 12월 11일 기지 건설을 승인했고, 1990년 4월 5일에 착공할 예정이었다. 그러나 1990년 중반 기지 건설이 중단되었고, 베를린 포츠다머 플라츠역 선로 복구로 서베를린의 그루네발트 기지를 다시 사용할 수 있게 되면서, 동서 베를린 BVG 통합 과정에서 계획이 취소되었다. 이후 기지 부지에는 주유소와 간이 식당이 들어섰다.
독일 통일 이후 팡코역 연장 계획이 다시 부상했다. 1997년에 착공하여 2000년 9월 16일에 개통했다. 역 북쪽에는 200 m 길이의 인상선이 설치되어 있다. 지하철역은 베를리너 슈트라세 연선상이 아닌 서쪽에 설치되었다. 이는 팡코 중심부로 진행하기 위해 일부 가옥을 지하로 통과해야 하며, 차후 니더쇤하우젠 방면으로 노선을 연장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었다.
1930년, U2 베를린 지하철 노선의 북쪽 종착역이 판코 (비네타슈트라세)로 연장된 이후, 베를린 판코역 방향으로의 연장이 계획되었지만, 공사는 진행되지 않았다. 1997년 10월, "지하철역 판코"는 비네타슈트라세로 개명되었다. 새로운 종착역은 2000년 9월 16일에 개통되었다. 판코 이후 가능한 다음 연장선은 판코 키르헤, 오시에츠키플라츠, 로젠탈러 베크이며, 이 계획들은 2003년 6월부터 고려되었다.
니더쇤하우젠으로 노선을 연장하는 가능성은 1957년에 처음 고려되었으며, 1961년 베를린 장벽으로 베를린이 동베를린과 서베를린으로 분단되었을 때 계획안에 머물렀다. 베를린 시는 1987년 11월 7일에 베를린 S반과 연결되는 판코역 건설을 승인했다.
3. 팡코 조차장
팡코역 북동쪽에는 1893년부터 1997년까지 운영되었던 대규모 조차장이 있었다. 제2차 세계 대전 이전에는 독일 제국 최대의 조차장으로 하루 3800량(1917년 기준)을 처리할 수 있었으며, 종전 이후에도 하루 1800량의 화물 열차를 처리했다.
3. 1. 건설 배경 및 초기 운영 (1891년 ~ 1945년)
1891년부터 1893년까지 890만 금 마르크 예산으로 건설되었다. 이 중 550만 마르크는 조차장 건설에, 나머지는 연결선 건설에 사용되었다. 당시 베를린 슈테틴역의 화물역 용량 초과로 인해 건설이 필요했다. 베를린 도착 화물 열차는 슈테틴역에 도착한 다음 역내 화물과 환적 화물이 분리되었고, 역내 화물은 슈테틴역에서, 환적 화물은 순환선을 통해 베를린 게준트브루넨역까지 운송되었다. 베를린 출발 화물 열차는 슈체친선의 슈테틴역으로 집결하여 출발했다. 1888년 슈테틴역에서 일간 취급한 환적 화물은 600축, 역내 화물은 470축, 출발 화물은 360축이었다. 토요일에는 포메른 방면에서 온 축산물 열차가 슈테틴역을 경유하여 첸트랄피호프역(중앙축산시장)으로 향했다. 두단식 승강장역은 이러한 화물 영업을 처리하기에 부족했고, 슈테틴역과 게준트브루넨역 사이의 화물선 용량이 포화 상태에 이르렀다.별도의 조차장을 설치하여 두단식 승강장역의 화물 취급 부담을 덜고, 차후 여객 열차역을 확장할 수 있게 되었다. 새로운 조차장은 슈체친선과 베를린 북부선으로 향하는 도착 및 출발선이 건설되었고, 양 노선은 순환선과 연결되어 있었다. 조차장은 영업 중인 선로 동쪽에 건설되었다. 조차장 건설 과정에서 시가지와 교차하는 부분은 입체 교차화되었다. 조차장 북동쪽은 슈체친선, 남서쪽은 슈체친선, 순환선, 북부선과 연결되었다. 마지막 연결선은 1896년에 완공되었고 1897년 5월 1일부터 영업 운행이 시작되었다. 매일 출도착 화물열차 73편성을 처리할 수 있었고, 열차 차축 수로는 8400개였다.
조차장 건설 이전에도 화물 물동량이 급격하게 증가하여 1889년에 현재의 블랑켄부르크역과 카로역 사이에 임시 화물역이 착공하여 1890년 1월에 영업을 시작했다. 1903년까지 임시 화물역이 사용되었고 그 이후에는 팡코역의 용량 분산용으로 사용되었다.
조차장 남서쪽에 도착선 6선이 건설되었다. 크게 2개 도착선군으로 분류되었고, 베를린 북부선, 베를린 구 북역, 베를린 순환선 동쪽, 베를린 순환선 서쪽, 슈체친선, 슈테틴역 6개 방면으로 분류되었다. 도착 열차는 역 북쪽으로 모인 다음 2개 군으로 나뉘어서 정리되었다. 조성이 완료된 열차는 서쪽으로 견인된 다음 출발선으로 진행했다. 공차와 환적 화물차를 위한 별도의 공간이 마련되어 있었다. 남서쪽에는 역내 화물열차용 공간이 마련되어 있었다. 북쪽에는 팡코 기지와 기관차용 전차대가 설치되어 있었다. 1893년 10월 1일 조차장 영업과 동시에 베를린 팡코하이너스도르프역이 개통했으며, 이 역에서 조차장과 기지 방면으로 연결되었다.
제2차 세계 대전 당시 전략적 폭격 목표로 설정되었으나 전쟁 초중반에는 큰 피해를 입지는 않았다. 전쟁 말기에 되어서야 철도 운영이 중단될 정도의 폭격 피해를 입었다. 1945년 4월 3일 폭격으로 인하여 군용 화물 열차가 파괴되어 폭약이 폭발했다. 1945년 4월 20일에는 베를린 전투 과정에서 철도 노동자가 집으로 돌려보내졌다. 전투 과정에서 대포로 포격당해서 일부 군용 화물 열차가 화재 피해를 입었다. 1945년 4월 23일 전선이 팡코 방면으로 더 들어갔다.
3. 2. 전후 복구 및 운영 (1945년 ~ 1997년)
1945년 5월 4일 철도 업무가 다시 시작되었고, 종전 직후에는 주독 소련군의 지시를 받다가 독일국영철도로 이관되었다. 파괴된 부분은 수리되었고 포격으로 파인 곳은 다시 메워졌다. 1945년 가을부터 조차장 업무가 다시 시작되었다.1950년대와 1960년대에 걸쳐 조차장이 현대화되었다. 기계식 신호소는 전기기계식 신호소로 교체되었다. Hf 신호기 조명은 석유에서 프로판 가스로, 이후 다시 전기 조명으로, 최종적으로는 Hl 신호기로 변경되었다. 과거의 전신기와 전신선은 무전으로 대체되었다. 조차장 조명은 형광등으로 교체되었다. 원래 역에서 끝났던 노선군은 Pka 신호소를 통해 블랑켄부르크 방면 열차선으로 연결되었다. 1960년에는 팡코 조차장에서 1700량의 화물열차를 처리할 수 있었다. 1970년대에는 제동 시설로 리타더가 설치되었다. 겨울철 대비를 위해 폐차된 전기 기관차를 변압기로 사용하여 분기기 가열 시설을 설치했다.
두 적재선(1번: 베를리너 슈트라세, 2번: 그라니츠슈트라세)에서는 석탄과 건축 자재 등을 처리했고, 동독의 주택 건설 계획에 필요한 조립식 콘크리트 블록을 운송할 때 사용하는 팔레트와 특수차 처리 시설, 쓰레기 환적 시설이 있었다. 여기에 추가로 석탄 및 고철 처리용 추가 선로가 있었다.
3. 3. 폐쇄 및 이후 (1997년 ~ 현재)
독일 통일 이후 조차장의 기능은 단계적으로 축소되었고, 1997년 7월 2일에 폐쇄되었다. 역 시설 철거는 2007년까지 단계적으로 진행되었다. 2009년에는 25만 m² 규모의 조차장 부지가 매각되었다.4. 현재 시설
thumb
팡코역은 베를린 S반과 베를린 U반이 교차하는 환승역이다.
4. 1. S반 시설
베를린 S반의 S2, S8, S26 노선이 운행되고 있다. 각 노선의 정차역은 다음과 같다.노선 | 전역 | 후역 | 전방면 | 후방면 |
---|---|---|---|---|
팡코하이너스도르프 | 보른홀머 슈트라세 | 베르나우 방면 | 블랑켄펠데 방면 | |
팡코하이너스도르프 | 보른홀머 슈트라세 | 블랑켄부르크 방면 | 텔토 슈타트 방면 | |
팡코하이너스도르프 | 보른홀머 슈트라세 | 비르켄베르더 방면 | 그뤼나우/빌다우 방면 |
4. 2. U반 시설
U2 노선의 종착역이다. 1930년 U2 노선이 비네타슈트라세역까지 연장된 이후 팡코역 방면 연장이 계획되었으나 실행되지 않았다. 1997년 10월 "지하철역 판코"는 비네타슈트라세로 개명되었다. 현재의 종착역은 2000년 9월 16일에 개통되었다. 팡코역 이후 판코 키르헤, 오시에츠키플라츠, 로젠탈러 베크 방면 연장 계획이 2003년 6월부터 고려되었다.1957년 니더쇤하우젠 방면 노선 연장이 처음 고려되었고, 1961년 베를린 장벽으로 베를린이 동베를린과 서베를린으로 분단되었을 때도 계획은 유지되었다. 1987년 11월 7일, 베를린 시는 베를린 S반과 연결되는 팡코역 건설을 승인했다.
5. 인접 역 및 환승 정보
베를린 버스 M27, X54, 155, 250, 255, N2, N50번, 베를린 노면전차 M1, 50번과 환승할 수 있다.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